글 수 66
2003.03.10 17:15:16 (*.79.253.200)
636
인체에서 특히 척추에서 디스크는 23개가 됩니다.
그외에 디스크는 턱관절과 생식기 부위의 뼈인 치골사이에 들어가 있으며
척추에서는 뼈와 뼈사이에서 위치하여 완충작용을 하지만
중력(내려누르는힘)의 스트레스에 의하여 디스크는 압박을 받게 됩니다.
평상시 사용되는 자세와 직업적인 문제,근육의 상태등에 따라서
약간은 다를수 있지만 모든 인간은 중력부담을 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이렇듯
계속되는 압박의 결과로 디스크는 뼈사이에서 부풀게 되는 상태가
팽윤(bulging)상태입니다.
요통증상이 없고 디스크증상이 전혀없는 건강한 사람을
엠알아이 촬영을 하였을 경우에 흔히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엠알아이로만 진단을 하는것이 아니고
환자를 직접적으로 정형학적,신경학적인 테스트를 하여
엠알아이상에서의 정보와 지금 환자가 나타내고있는 싸인(sign)이
일치할경우에 진단이 가능한것입니다.
팽윤상태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근육적,골격적인 문제(불균형,틀어짐)를 가지고 있다면 방치시에
디스크에 압박이 증가하게 되어 신경학적인 증상을 동반할수
있기에 미리 치료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듯 합니다.
그외에 디스크는 턱관절과 생식기 부위의 뼈인 치골사이에 들어가 있으며
척추에서는 뼈와 뼈사이에서 위치하여 완충작용을 하지만
중력(내려누르는힘)의 스트레스에 의하여 디스크는 압박을 받게 됩니다.
평상시 사용되는 자세와 직업적인 문제,근육의 상태등에 따라서
약간은 다를수 있지만 모든 인간은 중력부담을 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이렇듯
계속되는 압박의 결과로 디스크는 뼈사이에서 부풀게 되는 상태가
팽윤(bulging)상태입니다.
요통증상이 없고 디스크증상이 전혀없는 건강한 사람을
엠알아이 촬영을 하였을 경우에 흔히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엠알아이로만 진단을 하는것이 아니고
환자를 직접적으로 정형학적,신경학적인 테스트를 하여
엠알아이상에서의 정보와 지금 환자가 나타내고있는 싸인(sign)이
일치할경우에 진단이 가능한것입니다.
팽윤상태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근육적,골격적인 문제(불균형,틀어짐)를 가지고 있다면 방치시에
디스크에 압박이 증가하게 되어 신경학적인 증상을 동반할수
있기에 미리 치료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