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6
2002.10.20 14:43:13 (*.237.241.35)
407
한쪽 팔다리 감각 이상하면 즉시 병원으로
'허혈성 뇌졸중'.
노폐물이나 혈액 덩어리(혈전)가 뇌 혈관을 막아 뇌 조직을 파괴하는 응급질환이다.
전체 산소 소모량의 20%를 사용하는 뇌에 혈액 공급을 중단하는 것은 곧 사망을 뜻한다.
20초만 혈액을 차단하면 의식을 잃고, 4~8분 지속될 경우 뇌세포는 영구적인 손상을 입는다.
암에 이어 사망원인 2위를 기록하는 것은 이렇게 뇌졸중이 손쓸 새 없이 생명을 벼랑으로 몰고 가기 때문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인체가 이같은 위험을 미리 감지, 경고성 사인을 보내준다는 것.
위험 신호를 미리 감지하면 재앙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대부분 사람들이 뇌졸중의 전조(前兆)증상에 대해 이해가 부족할 뿐 아니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는 점이다.
최근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김용범 교수가 고혈압.당뇨.비만 환자, 흡연자 등 뇌졸중에 걸리기 쉬운 60세 이상 남녀 1백26명을 대상으로
뇌졸중의 전조 증상에 대한 이해 수준을 설문조사한 결과 1백점 만점에 평균 47점에 불과했다.
특히 뇌졸중은 10~1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도 41%가 1~2월이라고 답했다.
대표적인 증상인 한쪽 팔다리의 감각이 없어지는 전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즉시 병원을 방문하겠다는 사람도 65%에 그쳤다.
보통 뇌졸중 전조 증상은 짧으면 4~5분, 길면 1시간 정도 왔다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따라서 뇌졸중 경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 응급조치를 받아야 한다.
병원에선 혈전의 위치를 확인한 후 뇌 혈관을 막았던 혈전을 풀어주는 항응고제를 투여해 위기를 넘긴다.
다음은 최근 미국 의사협회가 발표한 뇌졸중 전조 증상.
▶한쪽 팔 다리에 힘이 빠진다
▶갑자기 발음이 어눌해진다
▶중심 잡기가 어렵고 비틀거린다
▶물체가 두 개로 보인다
▶한쪽 얼굴이 갑자기 저리거나 먹먹하다
▶갑자기 표현능력이 떨어지거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치매 증상이 나타난다
▶한쪽 팔 다리가 다른 사람 살처럼 느껴진다.
[고종관 기자]
'허혈성 뇌졸중'.
노폐물이나 혈액 덩어리(혈전)가 뇌 혈관을 막아 뇌 조직을 파괴하는 응급질환이다.
전체 산소 소모량의 20%를 사용하는 뇌에 혈액 공급을 중단하는 것은 곧 사망을 뜻한다.
20초만 혈액을 차단하면 의식을 잃고, 4~8분 지속될 경우 뇌세포는 영구적인 손상을 입는다.
암에 이어 사망원인 2위를 기록하는 것은 이렇게 뇌졸중이 손쓸 새 없이 생명을 벼랑으로 몰고 가기 때문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인체가 이같은 위험을 미리 감지, 경고성 사인을 보내준다는 것.
위험 신호를 미리 감지하면 재앙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대부분 사람들이 뇌졸중의 전조(前兆)증상에 대해 이해가 부족할 뿐 아니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는 점이다.
최근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김용범 교수가 고혈압.당뇨.비만 환자, 흡연자 등 뇌졸중에 걸리기 쉬운 60세 이상 남녀 1백26명을 대상으로
뇌졸중의 전조 증상에 대한 이해 수준을 설문조사한 결과 1백점 만점에 평균 47점에 불과했다.
특히 뇌졸중은 10~1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도 41%가 1~2월이라고 답했다.
대표적인 증상인 한쪽 팔다리의 감각이 없어지는 전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즉시 병원을 방문하겠다는 사람도 65%에 그쳤다.
보통 뇌졸중 전조 증상은 짧으면 4~5분, 길면 1시간 정도 왔다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따라서 뇌졸중 경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 응급조치를 받아야 한다.
병원에선 혈전의 위치를 확인한 후 뇌 혈관을 막았던 혈전을 풀어주는 항응고제를 투여해 위기를 넘긴다.
다음은 최근 미국 의사협회가 발표한 뇌졸중 전조 증상.
▶한쪽 팔 다리에 힘이 빠진다
▶갑자기 발음이 어눌해진다
▶중심 잡기가 어렵고 비틀거린다
▶물체가 두 개로 보인다
▶한쪽 얼굴이 갑자기 저리거나 먹먹하다
▶갑자기 표현능력이 떨어지거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치매 증상이 나타난다
▶한쪽 팔 다리가 다른 사람 살처럼 느껴진다.
[고종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