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IF Viewer제조사NIKON CORPORATION모델명NIKON D80소프트웨어Ver.1.10 촬영일자2008:11:25 15:45:07노출시간 0.002 s (10/5000) (1/500)초감도(ISO)1600조리개 값F/f/5.6조리개 최대개방F/5.6568542494924노출보정0.00 (0/6) EV촬영모드Reserved측광모드matrix촛점거리80.00 (800/10)mm35mm 환산120mm사진 크기350x234

급조폭발물 ‘완전정복’ 육군특수전사령부 주관, 시범식교육

폭약과 금속 파편, 간단한 폭발장치 등을 이용해 만든 저급한 수준의 폭발물, 즉 급조폭발물(IED : Improvised Explosive Device)이 세계 곳곳에서 위협적 테러무기로 자리하고 있는 가운데 육군특수전사령부는 25일 전·평시 신종 테러에 대한 유관기관별 교리 발전과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합동 대 IED 시범식 교육을 가졌다.

경찰청·해양경찰청·국립과학수사연구소·공병학교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교육은 대테러 작전 행동시범과 실제 폭발물을 차량에 설치해 폭파하는 위력시범, IED 소개 및 전술적 운용과 처리 기법에 대한 과제발표, 대테러 장비 전시와 토의 순으로 진행됐다.

또 ‘국내외 IED 테러사건 분석 및 대응 방향(국가정보원)’ ‘IED 위협 대응교리 연구(공병학교)’ ‘이라크전의 IED 위협과 작전수행 절차(특전사)’ ‘도시지역에서의 IED 수색·처리 방안(경찰청)’ ‘IED 처리 교육훈련 향상 방안(해경청)’ ‘폭약성능 및 폭발사고 감정 방법(국과수)’ 등 관련 기관의 다양한 주제발표와 토의를 통해 IED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구상했다.

시범식 교육을 준비한 특전사 고태식 중령은 “IED가 위협이 되는 이유는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제조 비용도 저렴해 세계 곳곳의 테러조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이날 시범식 교육을 바탕으로 IED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배양해 최상의 대테러 대비태세를 완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라크에서는 2003년 이라크 나자프 고속도로의 미 육군검문소 인근에서 터진 IED 폭발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8만여 건의 IED 공격이 발생하고, 이라크 주둔 미군 사망자의 약 60%가 IED의 폭발로 숨졌을 정도다.

IED에 의한 피해가 심각한 미국은 IED 대처를 위해 막대한 예산과 폭발물 탐지로봇 및 전파로 사전 폭발을 유도하는 장비 등을 투입해 IED 공격 성공률을 10%대로 줄이고 있다.

[국방일보] 2008.11.26 이주형기자 jataka@dema.mi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