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10,087
2011.07.20 20:03:42 (*.61.3.11)
538
![]() |
◇ 이재오 특임장관은 20일 "독도는 한국의 실효적지배가 아니라 원래 한국땅"이라고 말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
“일본이 하는 짓이 분통터지지 않는가!”
이재오 특임장관의 ‘독도 분노’가 폭발했다. 이 장관은 20일 최근 일본 외무성의 대한항공 이용 자제 지시와 자민당 의원들의 울릉도 방문 계획 등 잇따른 ‘독도 도발’과 관련,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국제적으로 소란을 피워보려는 일본의 속셈에 말려들어서는 안된다는 ‘신중론’에 대해 “자기들이 염탐꾼임을 스스로 밝힌 사람들을 불러들인다는 말아닌가. (그들이) 그냥 놀러오겠다는 것이 아니다”며 “왔다 가면, 이제부터는 시도 때도 없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일본정치인들이 자기들 지역구 사람들 데리고 와서 분탕질하는 것을 두고 보자는 것인가”라며 “‘차라리 와서 보도록 해야 한다’는 것은 솔깃한 역설법 같지만, 일본이 그것을 노리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17세기 일본에서 제작된 모든 지도에도 독도는 우리의영토로 표기되어있다”며 “조선국지리도, 삼국접양지도, 대일본분견신도 등 10여종의 지도와 19세기 일본이 만든 지도에도 독도는 한국땅으로 되어있다. 독도는 한국의 실효적지배가 아니라 원래 한국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에도 “1905년 일본이 제국주의침략을 본격화한 을사늑약 때 조선을 침탈하기위해 독도를 시마네현 오키노시마에 저들 멋대로 강제 편입시켜 놓았다”며 “그것은 그들의 침략적 야욕에 불과한 것일 뿐임을 세상이 다 아는 일이다. 이제 와서 생때 쓸 일이 아니다”고 일침을 놨다.
그는 지난 16일엔 “이번에 일본에 강하게 대처 해야한다”며 “국토부는 독도종합해양과학기지를 서둘러 설치해야한다.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지가 완성되면 이명박 대통령도 독도에 다녀 오시는게 좋을 것 같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앞서 19일 국무회의에선 독도 대응 방식을 두고 국무위원들 간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다.
우리 정부가 강력한 행동에 나설 경우 일본의 의도대로 독도문제가 국제 이슈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중한 대응을 해야한다’는 입장과 우리 국민의 의지를 보이기 위해 강경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맞섰다.
이 장관은 이 자리에서도 강경론을 폈다. 그는 “독도기지 건설 계획이 이미 설계도까지 마련된 상태인데, 굳이 설치 시기를 다음 정부로 넘길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금년 안에 공사를 시작해 늦어도 내년까지는 마무리 짓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반면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해양기지 건설은 독도가 명백한 우리 땅이라 아무런 제약이 없다”며 “일본이 끊임없이 추구하는 분쟁 지역화 의도에 우리 정부가 말려들어서는 안된다. 두 가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신중론을 견지했다.
정부는 잇따른 일본의 독도 도발과 관련,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단호한 자세를 유지하되, 일본의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맞대응은 자제하는 등 ‘단호하면서도 조용한’ 대응을 유지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안 = 이충재 기자]
- Copyrights ⓒ (주)이비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데일리안] 2011년 07월 20일(수) 오후 03:36
이재오 특임장관의 ‘독도 분노’가 폭발했다. 이 장관은 20일 최근 일본 외무성의 대한항공 이용 자제 지시와 자민당 의원들의 울릉도 방문 계획 등 잇따른 ‘독도 도발’과 관련,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국제적으로 소란을 피워보려는 일본의 속셈에 말려들어서는 안된다는 ‘신중론’에 대해 “자기들이 염탐꾼임을 스스로 밝힌 사람들을 불러들인다는 말아닌가. (그들이) 그냥 놀러오겠다는 것이 아니다”며 “왔다 가면, 이제부터는 시도 때도 없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일본정치인들이 자기들 지역구 사람들 데리고 와서 분탕질하는 것을 두고 보자는 것인가”라며 “‘차라리 와서 보도록 해야 한다’는 것은 솔깃한 역설법 같지만, 일본이 그것을 노리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17세기 일본에서 제작된 모든 지도에도 독도는 우리의영토로 표기되어있다”며 “조선국지리도, 삼국접양지도, 대일본분견신도 등 10여종의 지도와 19세기 일본이 만든 지도에도 독도는 한국땅으로 되어있다. 독도는 한국의 실효적지배가 아니라 원래 한국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에도 “1905년 일본이 제국주의침략을 본격화한 을사늑약 때 조선을 침탈하기위해 독도를 시마네현 오키노시마에 저들 멋대로 강제 편입시켜 놓았다”며 “그것은 그들의 침략적 야욕에 불과한 것일 뿐임을 세상이 다 아는 일이다. 이제 와서 생때 쓸 일이 아니다”고 일침을 놨다.
그는 지난 16일엔 “이번에 일본에 강하게 대처 해야한다”며 “국토부는 독도종합해양과학기지를 서둘러 설치해야한다.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지가 완성되면 이명박 대통령도 독도에 다녀 오시는게 좋을 것 같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앞서 19일 국무회의에선 독도 대응 방식을 두고 국무위원들 간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다.
우리 정부가 강력한 행동에 나설 경우 일본의 의도대로 독도문제가 국제 이슈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중한 대응을 해야한다’는 입장과 우리 국민의 의지를 보이기 위해 강경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맞섰다.
이 장관은 이 자리에서도 강경론을 폈다. 그는 “독도기지 건설 계획이 이미 설계도까지 마련된 상태인데, 굳이 설치 시기를 다음 정부로 넘길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금년 안에 공사를 시작해 늦어도 내년까지는 마무리 짓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반면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해양기지 건설은 독도가 명백한 우리 땅이라 아무런 제약이 없다”며 “일본이 끊임없이 추구하는 분쟁 지역화 의도에 우리 정부가 말려들어서는 안된다. 두 가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신중론을 견지했다.
정부는 잇따른 일본의 독도 도발과 관련,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단호한 자세를 유지하되, 일본의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맞대응은 자제하는 등 ‘단호하면서도 조용한’ 대응을 유지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안 = 이충재 기자]
- Copyrights ⓒ (주)이비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데일리안] 2011년 07월 20일(수) 오후 03:36